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

23년 7월 18일 (화) - 특징주정리

by 커피모카 2023. 7. 18.

23년 7월 18일 (화) - 상천정리

Summary

에코프로 미쳤다..
 

7/17일 매매 종목

종목 재료 기준 선정 이유 차트 기준 선정 이유 매수가/매도가 비고
         
         
         
 
 

7/18일 종목 선정

종목 재료 기준 선정 이유 차트 기준 선정 이유 비고
대유플러스 전기차 충전소 저점에서 벗어나 꿈틀중 1000원 깨지면 버리자
더블유씨피 2차전지 분리막 우상향  
네오셈 반도체 품질 테스트 급등후 도지  

 
 
 

특징주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 미국 정부 암 정복 프로젝트 합류 (항체 신약 개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가 미국 정부의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에 합류했다. 항체신약 개발 기업으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미국 시장 진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프로젝트 공공·민간 협력기구인 ‘캔서X’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자체 고유표적물질 PAUF 단백질인자에 기반한 췌장암 치료 생태계 구축 전략이 캔서문샷의 취지와 부합한다고 판단해 프로젝트의 멤버로 최종 선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혈중 PAUF 농도를 활용한 췌장암 진단, 치료, 췌장암 예방 목적의 Anti-PAUF 요법까지 췌장암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키로 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미국 정부의 지원 등을 바탕으로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과 췌장암 진단키트 개발 및 상용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 바이오파마덕분에 같이 간다.

 
 
 

●포스코퓨처엠 - 2차전지 - 양극재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최근 양극재 생산능력(Capa) 목표를 2030년 61만 톤에서 100만 톤으로 상향했다. 리튬인산철(LFP) 및 망간리치(LLO) 등도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즉 니켈·코발트·망간(NCM),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LFP, LLO 등 양극재 케미스트리 다각화를 통한 고객 대응 능력과 주요 메탈 소싱 능력, 자금 조달 능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대원강업 - 자회사가 2차전지 - 대코 SK온 합작 

SK온과 포드는 지난해 7월 총 114억달러를 투자해 합작사 블루오벌SK를 공식 설립했다. 합작사는 테네시주에 1개, 켄터키주에 2개 등 총 3개의 공장을 짓고 있다. 총 생산규모는 연간 총 127기가와트시(GWh)에 달한다.
한편 대원강업은 자동차 부품 전문업체로, 지분 25%를 보유하고 있는 대코의 SK온 수주가 알려지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아이센스 - 연속혈당측정기?? 혈당에 진심임 

아이센스의 연속혈당측정기(CGM) 제품인 '케어센스에어'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 허가를 획득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가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아이센스는 올해 3분기 케어센스에어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시장에 첫 국산 CGM이 진입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CGM은 미국의 덱스콤(DexCom), 애보트(Abbott), 메드트로닉(Medtronic) 등 외국 기업들이 공급·유통하고 있다.
아이센스는 앞서 CGM 제품인 케어센스에어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CGM은 당뇨병 환자 등의 피부에 패치를 붙여 실시간으로 혈당을 재는 의료기기로 알려졌다.
아이센스는 높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무기 삼아 국내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케어센스에어는 기존 제품보다 작고 가벼워 착용감이 좋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블루투스 방식이어서 다른 제품처럼 별도 송신기도 필요하지 않다. 패치 사용 기간은 15일로 가장 길다.
당뇨병 환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건강보험에서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공단의 '당뇨병 환자 소모성 재료' 명단 등록 절차도 시작했다.
올해 3월엔 유럽 품목허가(CE) 신청도 했다. 내년 상반기 유럽에서 출시하는 게 목표다. 

 

 
 
 

●펩트론 - 얘도 당뇨??ㅡㅡ?

당뇨·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펩트론은 기술 이전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당뇨·비만 치료제에 대한 ‘텀시트(term sheet)’를 수령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텀시트는 기술 이전 계약 직전 세부 조건을 협의하기 위해 체결하는 약정서다.
 
 
 
 
 

●디이엔티 - 2차전지 장비주 - 최대실적 기대감

미래에셋증권은 디이엔티가 하반기에만 1400억원 이상의 양극 레이저 노칭 장비 수주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3분기부터 국내외 고객사들에게 본격적으로 장비 발주를 시작해 향후 2~3년은 디이엔티의 양극 레이저 노칭 장비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란 분석도 내놨다.
박준서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디이엔티는 배터리 레이저의 선두자로 하반기 양극 레이저 노칭 수주 예상 금액만 14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며 "디이엔티의 양극 레이저 노칭 장비는 아직 대체가 불가하다. (이에) 고객사의 파우치 라인에는 2~3년은 락인 효과를 누리며 전량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디이엔티는 2001년 8월에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로 설립된 이후, LCD에서 OLED 검사 장비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2019년에는 세계 최초로 레이저를 이용한 2차전지용 '레이저 노칭(Laser Notching)' 장비 개발을 완료하는 등 성장을 거듭해왔다.
 
 
 
 
 

●대주전자재료 - 2차전지 음극재 - 증권사 리포트 

대주전자재료가 2차전지용 실리콘 산화물 음극재 첨가물 양산에 나서자 중장기 실적이 개선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구체적인 규모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내년 하반기 내 신규 고객을 확정 짓고 추산해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보고서를 통해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를 앞둔 포르쉐의 타이칸(Tycan)의 저조한 판매로 실리콘 음극재 단기 실적은 부진하나 신규 고객을 발판삼아 중장기 실적 전망치의 상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컬러레이 - 자동차코팅 - 신기술 개발로..

컬러레이가 자동차 코팅의 핵심 기술로 알려진 고성능 전도성 복합재료 개발에 본격 나선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컬러레이는 전날 중국 저장성의 국가 성급 과학연구 프로젝트에 공식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번 신청은 다음 달 승인될 예정이다.
고성능 전도성 복합재료는 전도성을 갖추지 않은 자동차 외부 플라스틱이 전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코팅해준다. 이로써 정전기 스프레이로 자동차에 색을 입힐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이다.
자동차의 기존 코팅 방식은 에어 스프레이를 분사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 작업 효율성 증가와 환경 보호를 위해 정전기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정전기 코팅 스프레이는 기존의 인공 에어 스프레이보다 작업 효율성을 10배 향상하고, 코팅의 활용도를 25~40% 증가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휘발성 유기물(VOC)의 배출량을 줄여 코팅 생산이 환경과 건설 인력에게 미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윤성에프앤씨 - 2차전지 믹싱 시스템 - 믹싱까지..? 턴키방식으로 제공

윤성에프앤씨는 지난 40여 년간 독자적인 믹싱 시스템을 개발해온 차별화된 믹싱 장비 제조 기술 보유 기업이다. 세계 최초로 4000리터(L)급 대용량 믹서를 개발, 국내 믹싱 시스템의 수준을 끌어올린 바 있다. 또 믹싱 시스템 관련 특허 약 40여 건을 보유하고 있다.
박치영 윤성에프앤씨 대표는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있어서 선제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이 필수”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 개발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EV용 이차전지 제조장비중 이차전지에 필요한 분체 또는 액체 형태의 원재료를 혼합하는데 필요한 믹싱장비와 그 시스템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장비 중 당사가 영위하는 믹싱 시스템은 전방산업인 2차전지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성장기에 있다고 판단되며 업종의 특성상 기술변화 속도가 빠르나 2차전지의 제조 공정상 당사가 영위하는 믹싱 공정이 제외되는 등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2차전지 제조사들은 양산 CAPA를 늘리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제조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장비의 대형화, 효율화 등을 요구하고 있어 당사는 2차전지 제조사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믹싱시스템의 대형화, 건식 믹싱시스템의 개발, 연속식 믹싱장비 등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타사와 기술적인 차별화를 위해 3D Modeling, CFD, FEA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ANSYS, NFX, Solid Work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에 맞는 강성설계 뿐만 아니라 장비의 세부적인 요인까지 검증하여 장비의 예방정비보전을 위한 라이프 사이클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2차전지 배터리 제조공정에 설치된 장비 별로 라이프 사이클 시기에 맞춰 정기적으로 유지보수 시점을 고객에 리마인드 차원에서 공지를 해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라온피플 - 디지털트윈 - 지능형 교통 신호 제어 및 CCTV영상 제어 (웨이버스랑 같이 가겠네)

 

<라온피플(주)>
당사는 2010년 1월 설립 이후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을 이용한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기업으로 사업의 내용을 보면
① 머신 비전 카메라, 렌즈 및 조명을 이용하여 적절한 이미지를 획득한 후, 획득한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가 수행 작업의 목적에 적합하게 영상처리 및 분석 과정을 거쳐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판단을 제공하는 AI머신비전 솔루션
② 산업용 분야에서 입증된 우수한 AI 비전솔루션과 AI  영상검지 기술등을 활용하여 골프센서, AI덴탈 솔루션, AI교통 솔루션, AI스마트팜 솔루션으로 사업을 확장하여 실생활에 활용될 수 있는  AI스마트비전 솔루션
③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을 검사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PC로 전송해주는 카메라 모듈 검사 솔루션
AI 머신비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딥러닝 비전기술을 이용하여 생활속의 AI를 구현하며 보다 편리한 사회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주) 라온로드>
당사는 산업용 분야에서 입증된 우수한 AI 영상검지 기술과 자체 개발한 지능형 교통신호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라이프 사업 기회를 선점하기 위하여 교통제어시스템 사업 진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의 AI 영상검지 기술은 시간이나 날씨에 강인한 검출 능력을 기반으로 차종을 분류하고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인식하며,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PC 없이도 카메라가 딥러닝 연산을 수행하고, 영상 전송 과정이 생략되어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부담이 없는 등 교차로의 독립된 운영이 가능한 기술입니다.

한편 당사의 지능형 교통 신호제어 기술은 교차로의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교통 혼잡이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통 신호를 생성, AI 영상검지로 분석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교차로 진행 방향(직진/좌회전)에 대한 혼잡도를 산출하고, 교통량이 가장 많은 혼잡 방향에 교통신호를 먼저 분배함으로써 혼잡 방향의 교통을 우선적으로 해결해 주는 기술입니다.

현재 지방자치단체 및 도로관련 국가 유관기관과 협력을 넓혀가고 있으며, 2019년 하반기에 안양시에 독립 교차로에 시범 설치하여 AI 교통솔루션의 성능을 입증하였고  각 지자체들은 C-ITS(차세대 지능형 교통스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사업에 컨소시엄형태로 참여하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주) 라온메디>
당사는 회사가 보유한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 영상 처리 및 컴퓨터 비전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산업용에서 컨슈머용까지 어플리케이션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2021년 11월 물적분할을 통해 (주)라온로드가 신설되었습니다.

앞선 AI기술과 다양한 현장 경험을 통한 최적화 솔루션으로 생활 속의 AI를 실현하는 라온로드는 비전기술을 바탕으로 독자 설계한 능동형 RGBW 프로젝터를 이용한 고속 3D 구강 스캐너를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AI와 3D 기술을 접목한 3D 덴탈 엔진을 개발하였고, 3D 덴탈 엔진을 이용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출시하였습니다.

그외 투명교정솔루션 Align Studio, 보철치료솔루션 Design Studio, 세팔로분석솔루션 LaonCeph그리고 투명교정/직접프린팅장치 설계가 가능한 Clear Aligner Creator, 교정후유지장치용 Retainer Creator소프트웨어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동운아나텍 - 혈당.. 

 
 

●새빗켐 - 2차전지/반도체  - 이제 양극재 재사용테마까지?? - 폐배터리 회수

최보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새빗켐이 생산하는 전구체 복합액은 고상화된 상태로 제공하는 것 대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며 "고객 입장에서는 공정 하나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양극재 업체로부터 확보한 불량 양극활 물질에 액상 침출 공정을 진행해 니켈-코발트-망간 순으로 메탈을 회수한다"며 "고객사의 규격에 맞춘 튜닝 작업을 통해 제품을 만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재 1공장(폐산)과 2공장(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가동 중"이며 "내년 한국전구체주식회사향 물량에 대응하고자 3공장을 건설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새빗켐 주요 경쟁력은 액상형 분리 기술에 기반한 높은 유가금속 회수율"이라며 "다단침출 기술을 이용 95% 이상의 회수율을 보유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쟁사 대비 높은 마진율의 원동력"이라며 "내년 하반기부터 LG화학-켐코(고려아연 계열사)의 합작법인인 한국전구체주식회사로 전구체 복합액을 납품할 예정"이라고 했다.
 
새빗켐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을 재활용해 비료 원료가 되는 인산을 생산하는 업체다.
폐리튬이온 2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 분리해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 2차전지의 부원료를 공급하는 사업도 하고 있다.
 
 
 

●이라이콤 - 반도체 장비? - 근데 적자!

 
주식회사 이라이콤과 종속기업(이하 "연결실체")은 BLU 전자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과 반도체 장비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주요 제품

BLU부문 스마트폰ㆍ휴대폰, 태블릿PC 등 TFT-LCD BLU
반도체 장비부문 반도체 PKG 가공용 STRIP GRINDER 등
 
디스플레이용 BLU(Back Light Unit)는 LCD 패널의 뒤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눈방향으로 균일한 조도의 빛을 발생시켜서 LCD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구조는 발광체의 역할을 하는 광원과 광원의 빛을 전달하는 도광판, 도광판의 후면으로 빠져나가는 빛을 차단하여 전면으로 보내는 반사판, 전달된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 그리고 균일한 조도와 방향을 유지시키기 위한 프리즘 시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용 BLU는 과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수요 증가로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였으나, 선진시장의 성숙기 진입에 따른 포화 상태와 신흥시장의 성장률 둔화로 경쟁이 과열되어 시장의 성장성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반도체 장비부문의 경우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함께, 반도체의 용량 증대와 기능향상을 위한 advanced 패키징 기술, 박형(thin) 패키징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지문인식센서 분야의 지속적인 장비 판매 실적 외 SIP, Die expose, double-side mold 분야 등 다양한 품목에 Grinder 공정이 접목되고 있습니다. Grinder 공정은 특히 5G 통신에 필요한 신규 반도체 PKG 양산에 필요한 장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문인식 센서, SIP 패키지, 양면 Mold 분야에서 안정적인 Thickness 품질 확보로 지속적인 장비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차세대 특화 반도체 제품인 통신 분야 5G 제품군, 웨어러블 제품군 등의 Strip Grinding 공정에서도 고객이 요청하는 기술력을 통해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 있습니다.
 
 
 
 
 

●에프에스티 - 반도체 - EUV 펠리클 

에프에스티(FST)가 업계 최초 개발한 극자외선(EUV) 펠리클 장비로 첫 매출 달성에 성공했다. 펠리클은 반도체 노광 공정에 쓰이는 제품으로, 반도체 회로 패턴이 그려진 마스크 손상을 최소화한다. 첨단 반도체 제조에 필수인 EUV 공정에서도 EUV 펠리클 필요성이 점차 늘지만, 아직 도입·운영 중인 반도체 제조사는 많지 않다. 에프에스티 장비는 EUV 펠리클 도입을 용이하게 해 시장 확산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프에스티는 국내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극자외선(EUV) 펠리클 탈부착과 검사 등 핵심 장비를 수주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장비 개발을 완료하고 처음으로 수익화에 성공했다. 이번에 수주한 펠리클 마운팅&디마운팅 장비는 EUV 펠리클을 EUV 마스크에 자동 탈부착하는 설비다.
 
 
 
 

●하나마이크론- 반도체 후공정 - ??

반도체후공정 기업 하나마이크론이 올해 베트남 신공장 가동을 본격화 한다. 이를 통해 연 30% 정도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하나마이크론은 충남 아산 공장과 함께 베트남, 브라질에 해외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은 해외 주력 생산 거점으로 베트남법인과 비나법인을 100% 자회사로 갖고 있다.
올해 베트남 자회사 하나마이크론비나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1분기부터 생산 능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작년 4분기 영업손실 94억원에서 올해 1분기 12억원 규모로 크게 축소했다.
하나마이크론비나는 SK하이닉스와 외주 임가공 계약을 체결한 법인으로 베트남에 두 개의 공장을 건설했다.
하나마이크론 관계자는 21일 전화통화에서 "비나는 공장 두 동을 건설했다. 1동은 준공이 완료돼 잘 진행되고 있으며 2동은 올해 말부터 양산을 개시한다"며 "램프 업(Ramp-up) 되는데 1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대략 1/3 성장을 잡고 올해부터 매해 30%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글과컴퓨터 - AI웹에디터 회사 물적분할로 강세 - 자사주도 소각 

한글과컴퓨터(대표 변성준·김연수)는 '한컴 인공지능(AI)웹에디터'를 설립한다고 17일 밝혔다.
한컴은 이날 이사회에서 기존 웹오피스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고 '한컴AI웹에디터'를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한컴은 이번 분할을 통해 신설 법인 지분을 100% 소유한다. 본격적인 설립은 다음 달 25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10월 1일 진행한다.
한컴은 아마존웹서비스를 비롯한 러시아 포털 기업 메일닷알유 등에 AI 기반 웹에디터 제품을 공급한 바 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요구에 맞는 AI기반 웹에디터 제품 고도화와 다변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기업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자사주 일시 소각도 단행한다. 소각 예정 자사주는 총발행주식의 5.6%인 142만9천490주로, 200억 규모다.
 
 
 
 

●솔트룩스 - AI  - CHATGPT 

 
 
 

●한탑 - 흑해 곡물 협정 - 곡물주!!

한탑은 곡물 제분업체로 밀가루, 소맥분,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폴라리스오피스 - 네이버 AI 서비스 협력 개발 

 
 
 

●웨이버스 - 디지털트윈. - 우크라재건에 AI도입?? 

 
 
 
 

●삼천리자전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