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

23년 8월 30일 (수) - 특징주 정리

by 커피모카 2023. 8. 31.

 

Summary

반도체 vs 2차전지 → 자율주행 
 

8/30일 매매 종목

종목 재료 기준 선정 이유 차트 기준 선정 이유 매수가/매도가 비고
         
         
         
 
 

8/31일 종목 선정

종목 재료 기준 선정 이유 차트 기준 선정 이유 비고
       
       
       

 
 

 

특징주

 
 
 
 
 
 
 

●알에프세미 (+30.00%) - 2차전지 - LFP 배터리 신사업 진출 

1999년 설립된 알에프세미는 LED(발광다이오드) 조명과 반도체소자(ECM칩) 등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최대주주 변경 이후 약 3개월간 지배구조 개편과 신사업 인력 강화 등을 진행했다. 알에프글로벌이 국내 지주회사로 알에프세미와 홍콩진평을 지배하고, 향후 알에프글로벌→홍콩진평→상해 및 산시진평으로 수직계열화할 계획이다.
대표이사는 전 기획재정부 차관 출신으로 트루벤인베스트먼트와 브릿지스톤자산운용 대표를 역임한 구본진 대표가 선임됐다. 또 박광희 클라리우스 아시아본부 총괄(부사장)을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영입했다.
알에프세미는 산시진평이 가진 3.5GWh(기가와트시) 규모의 3270 원통형 리튬인산철 LFP 배터리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 자율주행

현대차그룹은 올 연말 세계 최초로 시속 80km까지 작동하는 ‘레벨3′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한다. 레벨3는 전국 모든 고속도로에서 운전자가 핸들을 아예 잡지 않아도 목적지를 향해 차가 알아서 달리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차에 레벨3 기능을 넣은 것은 지금까지 일본 혼다와 독일 메르세데스 벤츠밖에 없었다. 하지만 시속 60km가 상한이었다. 현대차그룹이 이 벽을 뚫은 것이다.
 
 

●디와이 (+29.98%) - 자회사 디와이오토가 센서클리닝 개발 

현대차가 올 연말 세계 최초로 시속 80km까지 작동하는 '레벨3'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한다. 디와이는 현대차와 자율주행 '레벨4'의 핵심 기술을 독점 개발한 사실이 있어 이 같은 소식에 장중 주가가 오르고 있다.
디와이의 100% 자회사인 디와이오토는 현대차와 공동으로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 클리닝 시스템’을 개발
디와이오토 센서 클리닝…현대차 무인택시에 장착 (21/11/25) 
 
 
 
 
 

●라이콤 (+29.98%) -  자율주행 - 라이다 대장주?!

라이콤은 앞서 ‘L’사로부터 차량용 자율주행 라이다 핵심 부품 ‘초소형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의 초도 물량 선적을 완료했다.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는 라이다용 레이저 센서 중 전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작을 뿐 아니라 자율주행차에 적용 가능한 라이다 센서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용화에 성공한 제품이다.
 
 
 
 

●라닉스 (+29.92%) - 자율주행 - 차량사물통신 칩 

수년 전부터 자율주행 사업도 착수했다. 핵심기술인 차량사물통신(V2X) 솔루션을 2010년부터 5세대 걸쳐 개선해왔다. 모뎀, 보안, 무선주파수(RF) 통신 SW 스택 등을 담은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아울러 암호화 인터넷 프로토콜까지 확보된 상태다.
최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V2X 관련 칩과 SW 등을 내재화한 곳은 라닉스뿐이다. 개별적인 기술도 글로벌 경쟁사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우위에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통신사가 내세우는 최신 체계 셀룰러-V2X(C-V2X)용 모뎀 칩 개발도 진행했다. 회사는 내년까지 5세대(5G) 이동통신 C-V2X 기술 개발을 마치고 2023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방침이다.
 
 
 

●모바일어플라이언스 (+29.84%) - 자율주행 - 스마트카  

모바일어플라이언스는 자율주행 및 스마트카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사람과 사물을 선택적으로 감지해 녹화하는 레이더 이벤트 기록장치를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등 독일 3사에 공급하고 있어 이번 소식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바이오

 

●박셀바이오 (+29.97%) - 바이오 - 2상성공 뉴스가 키움증권 뜸 

 
 
 
 
 

●씨이랩 (+29.96%) - 엔비디아 - 구글 제휴로 엔비디아 제휴사 상 

엔비디아 국내 최초 SW파트너 씨이랩이 엔비디아와 구글의 제휴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최대 수혜주 엔비디아가 구글과 제휴를 발표하면서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엔비디아가 구글 클라우드와 손을 잡고 고객을 위한 새로운 인공지능(AI) 인프라와 소프트웨어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이로서 생성형 AI를 위한 대규모 모델을 구축하고 배포해 데이터 사이언스 워크로드를 가속화한다.
구글 클라우드 CEO는 “구글 클라우드는 고객을 위한 혁신을 촉진하고 가속화하기 위해 AI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기술을 혁신해 왔다”며 “구글의 많은 제품이 엔비디아 GPU를 기반으로 구축하고 제공되고 있으며 많은 고객들이 생성형 AI를 발전시키기 위한 LLM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 가속 컴퓨팅을 찾고 있다”고 언급했다.
씨이랩은 국내 SW기업 최초로 엔비디아 파트너사 자격을 획득했으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상 분석기술을 서비스하고,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에 기반하여 AI솔루션을 구성한 기업이다.
씨이랩의 사업구조는 어플라이언스 제품 판매, 솔루션 제품 판매, AI 기술용역 및 서비스, 데이터 유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스마트레이더시스템 (+29.92%) - 신규주 - 구글 제휴로 엔비디아 제휴사 상 

 
 
 
 
 
 

 

●이수스페셜티케미털(+29.80%) -  MSCI 스몰캡 지수 편입 리밸런싱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