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

23년 8월 25일 (금) - 특징주 정리

by 커피모카 2023. 8. 27.

 

Summary

셀트리온이 전환매수권을 1조 준비하는데 왜 주가는 오르지 않는건가?
 
 
 

8/25일 매매 종목

종목 재료 기준 선정 이유 차트 기준 선정 이유 매수가/매도가 비고
         
         
         
 
 

8/28일 종목 선정

종목 재료 기준 선정 이유 차트 기준 선정 이유 비고
갤럭시아머니트리 STO 추세를 돌릴거 같다..?  
       
       

 
 

 

특징주

 
 
 
 
 
 

●태양금속우 (상한가) - 한동훈 관련주 

 
 
 
 

●테라사이언스 (상한가) - 2차전지 - 리튬 

 
 
 

●윙입푸드 (상한가) - 중국 발 일본 수산물 수입금지 - 육가공업체 

 
 
 
 
 

●GRT (상한가) - 코팅신소재 기업 - 공장 견학 뉴스로 상한가?

주영남(ZHOU YONG NAN) GRT 대표이사는 최근 중국 장쑤성 장인시(강소성 강음시) GRT 본사에서 기자와 만나 과거 자진 상장폐지를 추진했던 배경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GRT는 지난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정밀 코팅 신소재 사업을 영위 중인 중국 기업이다. 지난 2021년과 지난해까지 두 차례에 걸쳐 자진상폐를 위한 공개매수를 진행했으나 소액주주들의 반발 속 지분 확보에 실패한 바 있다.
기능성 신소재 전문 중국기업 GRT는 정밀 코팅 필름을 주로 생산하는 코스닥 상장사다. GRT가 생산하는 제품의 응용 분야는 크게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 반도체 소재 등이다. 디스플레이는 중국 대표기업 BOE가 고객사고, 이차전지는 중국 배터리 선두기업 CATL과 전기차 업체 BYD와 협력 중이다. MLCC의 경우 국내 최대기업과도 공급계약을 맺고 있다.
 
 
 
 
 
 

●샘표식품 (상한가) - 후쿠시마 관련주 - 소금 

 
 
 
 

●시큐레터 (상한가) - 신규상장 - 사이버보안 SaaS기반이라 확장성 좋음!! 

시큐레터는 역공학(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핵심 기술로 내세우고 있는 기업이다. 위협이 되는 특징, 패턴 등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이를 차단하는 전통적인 보안 방식과 달리 프로그래밍 언어 단에서 정상파일과 악성파일을 진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기술은 최근 기업‧기관들의 핵심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는 알려지지 않은 위협(제로데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각광받고 있다. 시큐레터는 해커가 주로 활용하는 공격 경로인 이메일을 지키는 데 자사 기술을 활용하는 중이다.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 체크포인트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공격의 72%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문서포맷인 .doc, .xls 등 비실행 파일에서 발생 중인데 이는 이메일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다수다.
여러 사이버보안 기업 중 시큐레터에 특히 기대가 쏠리는 배경 중 하나는 확장성으로 꼽힌다. 시큐레터는 현재 구축형과 구독형으로 자사 제품을 공급하는 중이다. 구축형 제품은 델 서버에 소프트웨어(SW)를 탑재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구독형 제품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클라우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주요 사이버보안 기업의 사업 상당수는 네트워크 장비 판매나 관제 등, 해외 확장에 유리하지 않은 방식이다. 장비를 만들어 해외에 배송하고, 설치하고, 유지보수하는 등의 일련의 흐름은 현지 지원 인력이 요구된다. 규모의 경제에 의해 단가를 낮추기도 쉽지 않다.
반면 시큐레터는 자사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제공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이 경우 한국에 진출하지 않은 해외 기업의 서비스를 국내에서도 구매해서 사용하듯, 시큐레터가 진출하지 못한 해외에서도 시큐레터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